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코딩교육 기초] 닥터유레카 소개 및 방법 - 언플러그드게임 추천
    SW 교육/언플러그드 게임 2019. 2. 19. 17:47
    반응형

    파쿠아맨's 닥터유레카 소개 및 방법

    (SW교육 행복한바오밥 DR.EUREKA 구슬 보드 게임)

     

     

     

     

     

     

    주의 : 구슬을 잃어버리면 게임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실험하는 느낌이 드는 닥터유레카"

     

     

     

     

     

     

      안녕하세요? 21세기 사이버전사 파쿠아맨입니다. 언플러그드 게임 세 번째 소개네요. 오늘은 닥터 유레카(DR.EUREKA)라는 게임입니다. 상자에서 보다시피 과학자가 실험실에서 실험을 하는 느낌이네요. 실린더와 구슬이 다수 들어있습니다. 기분탓일지도 모르지만 하노이탑 원판 옮기기에서 모티프를 가져온 느낌이네요. 하노이탑은 옛날에 계차수열 배울 때 나왔어요. 크기가 다른 원판을 다른 기둥 하나에 모두 옮겨야 하는 데 크기가 작은 원판이 무조건 위에 올라가야 하는 규칙이 있어요. 그리고 그때 옮겨야 하는 횟수를 구하는 내용이었죠.

     

     

     

     

     

     

     

     

     

     

    상자 뒷면에 간략한 게임 방법이 나와 있어요. 시험관을 이용해 구슬을 정확하고 빠르게 옮기는 게임이네요:D

     

     

     

     

     

     

     

     

    [내용물] 구슬 잃어버리면 게임 안 됩니다...

    실험카드 54장, 구슬 24개(8개 * 3세트), 시험간 12개, 설명서

     

     

     

     

     

     

     

    기본규칙!

    1. 구슬은 시험관을 이용해 옮겨야 합니다.

    2. 시험관의 위치를 바꾸는 것은 인정합니다.

    3. 틀리면 그 라운드는 탈락입니다.

     

     

     

     

     

     

     

     

    1. 실험카드을 섞어 줍니다. 그리고 시험관에 같은 색의 구슬을 2개씩 넣고 3세트를 준비합니다.

     

     

     

     

     

     

     

     

     

     

    3. 가위바위보로 순서를 정하고 돌아가면서 카드를 한 장씩 뒤집습니다. 시험관 뒤로 미션이 보이네요. 그림 그대로 만들어 줍니다. 물론 손으로 직접 옮기면 반칙입니다. 마지막에 시험관 위치만 샤샤샥 바꿔주면 끄읕~!

     

     

     

     

     

     

     

     

     

    4. 소리질러~ "유레카!"(+1점) 완성 즉시 바로 외칩니다. 유레카라고 외치지 않으면 무효입니다.

     

     

     

     

     

     

     

     

     

    5. 이제 그 다음 사람이 카드를 뒤집고 게임을 계속합니다. 5점을 먼저 획득한 사람이 승자가 됩니다.

     

     

     

     

     

     

      지금까지 닥터유레카 소개 및 게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진을 혼자서 찍고 작업하다보니 카드 1개로 1명씩 돌아가면서 게임하는 방식인 것 같은데 그게 아니라 카드 1장을 보고 최대 4명이서 실험관 3개씩 가지고 게임을 해야 합니다. 옛날에 배웠던 계차수열, 하노이의 탑에 있는 원판 옮기기와 어느정도 유사한가요? 정확하게, 빠르게 옮기는 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순차, 반복, 판단, 절차적 사고 등)을 길러주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구슬 절대 잃어버리시면 안됩니다. 게임 버려야 할지도 몰라요...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파쿠아맨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